한국여성정책연구원 전자도서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신착자료 검색

신착자료 검색

단행본

나는 정상인가: 평균에 대한 집착이 낳은 오류와 차별들

서명
나는 정상인가
대등서명
Am I normal?
원서명
Am I normal?
개인저자
Chaney, Sarah
발행사항
서울. 와이즈베리. 2023
형태사항
373 p. 삽화 23 cm
ISBN
9791168415911
가격
₩19000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지금 이용 불가 (1)
자료실EM118060대출중2024.04.10
지금 이용 불가 (1)
  • 등록번호
    EM11806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중
    2024.04.10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정상은 어떻게 평균에서 벗어나는 사람을
공격하는 무기가 되었는가?

‘평균’이 정상이라는 오해는 언제부터 시작된 것일까?
동성애, 자위, 분노 표출은 원래부터 비정상이었던 걸까?
아이들의 정상적인 행동의 범위는 어디까지일까?

표준화가 우리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심도 있는 고찰

★ 영국 워터스톤 선정 2022 최고의 대중 과학 서적 ★

우리는 남과 다른 것을 ‘비정상’이라 여기고 끊임없이 ‘정상적인 것’을 추구한다. 정상적인 신체 사이즈, 정상적인 사고방식, 정상적인 성적 취향, 정상적인 감정 표출 등. 그런데 알고 보면 이러한 ‘정상’이란 말이 생긴 지는 200년밖에 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우리는 왜 이리 정상, 비정상을 나누고 정상에 집착하는 걸까? 정상과 비정상은 대체 누가 결정하는 걸까? 영국의 정신 건강 연구가 사라 채니는 수학에서 비롯된 ‘정규분포’가 어떻게 사회적·문화적 맥락으로서의 ‘정상’이 되었는지 그 흐름을 추적하고, 그 과정에서 정상이란 개념이 어떻게 고착화되었는지를 탐구한다.
‘평균’에 대한 집착은 데이터를 조작해 오류를 낳았고, 잘못된 모집단 설정은 잘못된 대표성을 낳았다. 이를 바탕으로 서구 사회는 식민주의와 인종차별, 성차별을 옹호해왔고, 지금은 ‘위어드(WEIRD)한 사람’을 기준으로 나머지를 평가한다. 이러한 일반화가 과연 정당한 것일까?
이 책은 정상성이란 개념 뒤에 숨은 차별과 억압의 역사를 밝히며, 정상과 비정상에 대한 우리의 기존 관념을 무너뜨린다. 이를 통해 우리는 획일화되고 고착화된 기준에서 벗어나 각자의 개성대로, 열린 마음으로 함께 사는 삶을 지향하는 사고방식을 배우게 될 것이다.

약의 부작용이 여성에게 더 많이 나타나는 까닭

2023년 7월에 보도된, 흥미로운 기사를 하나 소개해보겠다. 코로나 백신의 부작용이 남성보다는 여성에게 더 많이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는 남녀 모두 동일하게 ‘정량’의 백신을 투여받은 결과였다. 다시 말해, 남성과 여성의 다른 면역 반응은 고려하지 않은 채 남녀 모두가 동일한 양의 백신을 맞은 결과였다. 그리고 그 정량의 기준은 바로 남성이었다. 어째서 이런 일이 벌어진 것일까? 영국의 의학사 박사이자 정신 건강 연구가인 사라 채니는 그 이유를 ‘잘못된 모집단 설정’으로 꼽는다. 즉 오늘날의 과학 규범이 남성 중심의, 그것도 세계 인구 중에 극소수인 ‘위어드(WEIRD)한’ 사람들로부터 도출되었기 때문이다.
세계 인구의 12퍼센트에 불과한 중산층의 백인 남성은 빅토리아 시대(1937~1901년) 이후로 심리학 연구 대상의 96퍼센트, 의학 연구 대상의 80퍼센트를 차지해왔다. 과학과 의학에 관한 한 중산층 백인 남성은 중립적인 범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더욱이 남성은 여성보다 호르몬 수치 변동이 적은 편이어서 비용도 덜 들고 편한 실험 대상이라는 측면도 있었다. 문제는 이러한 백인 남성 중심의 연구 결과가 모든 인종, 모든 성별에 다 맞아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 명백한 차별이다. 그런데도 왜 여전히 이러한 관행이 이어져 오는 걸까?

통계의 정규분포는 어떻게 사회적 맥락의 ‘정상’이 되었는가

사라 채니는 이에 대한 답을 ‘정상성’을 둘러싼 역사적 맥락과 통계적 연구를 통해 찾는다. 《나는 정상인가: 평균에 대한 집착이 낳은 오류와 차별들》에서 저자는 우리가 사용하는 ‘정상’이란 말이 생긴 지 200년밖에 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우리 사회를 지배하는 개념이 되었는지를 밝히며, 그 이면에 숨은 차별과 억압의 역사를 밝힌다.
저자에 따르면, 정상은 통계학의 ‘정규분포’에서 비롯된 개념이다. 천문학자 케틀레는 정규분포로 인체 측정치를 나타내려고 시도했고, 이를 통해 ‘평균인’이란 개념이 생겨나게 되었다. 케틀레는 평균인이 진정한 인간을 대표한다고 생각했고, 이는 곧 완벽을 의미했다. 그래서 평균에서 이탈하는 경우를 문제시 삼았다. 평균인은 최초의 ‘정상적’ 인간이 되었고, 이 정상의 개념은 어느새 우리의 신체는 물론이고, 정신 건강, 성생활, 감정 문제, 아이의 양육 방법과 문제 행동, 그리고 우리 사회를 ‘표준화’하기 시작했다. 이 표준에 적합하지 않은 사람은 곧 ‘비정상’으로 여겨졌다.

표준화와 잘못된 모집단 설정이 가져온 결과

문제는 케틀레 이후 과학자들이 평균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이례적으로 보이는 수치들을 삭제했다는 것이다. 즉 종형 곡선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 데이터에 조작이 가해진 것이다. 여성과 아이의 경우는 신체적 특성과 성장 과정에 따른 변수가 많아 가중치가 부여됐고, 이렇게 변형된 데이터가 남성 데이터와 비교되었다. 이로 인해 남성이 생물학적 표준이 되었다. 동시에 백인 남성이 다른 인종과 비교하는 표준이 되었다. 당시의 연구자들 및 중상류층의 대부분이 백인 남성이었기에 이들이 곧 평균인의 기준이 된 것이다. 따라서 중산층 백인 남성에 미치지 못하는 생활양식과 정신적·신체적 건강 상태는 배척받기 시작했다.
백인 중산층 남성이 지배하는 사회와 국가는 ‘정상’이었고, 이러한 정상 상태가 그렇지 못한 비정상적인 국가와 사회에 적용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이는 곧 식민주의, 인종차별, 성차별을 옹호하고 지지하는 수단이 되었다. 부당한 차별에 저항해 도망가는 노예는 ‘도망병’에 걸린 취급을 받았고, 미혼 여성의 신경쇠약은 ‘결혼’이 치료 처방전이었다.
일하는 아빠, 집에 있는 엄마, 자녀로 구성된 백인 중산층 가정은 곧 사회의 표준이 되었고, 이를 벗어나는 형태는 용납되지 않았다. 사회의 기준을 해치는 행위들, 즉 자위, 동성애, 분노와 슬픔 같은 감정 표출 등도 ‘비정상적인 행위’가 되었고 아이들의 부실한 영양 상태와 위생 상태의 책임은 곧 ‘일하는 엄마’에게 돌아가게 되었다. 심지어 ‘장애’마저도 숨겨야 할 비정상적인 상태가 되어 장애인들이 거리에서 활동하지 못하게 하는 법안이 마련될 정도였다. 이러한 규범과 기준이 과연 정당한가?

표준화가 우리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심도 있는 고찰

우리는 끊임없이 묻는다. 나의 체중은 정상인가, 나의 키는 정상인가, 나의 혈압은 정상인가. 동성을 좋아하는 나의 취향은 비정상인가, 섹스를 너무 많이 하는 것은 혹은 너무 적게 하는 것은 비정상인가? 내가 지금 저 사람한테 갖는 이 감정은 정상인가? 우리 아이의 정신없는 행동은 정상인가, 비정상인가. 이는 달리 말해, 내가 다른 사람과 비슷한지 아닌지, 내가 사회에 어울리는 사람인지 아닌지, 그래서 순탄한 삶을 살 수 있는 사람인지 아닌지 끊임없이 확인하는 과정과도 같다.
실제로 이러한 질문과 답은 우리의 개인적이고 사회적인 삶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하지만 이러한 규범과 기준이 항상 옳은 것은 아니다. ‘정상성’이란 미명하에 벌어진 식민주의나 인종차별, 성차별이 과연 옳다고 말할 수 있을까? 누구에게도 해를 끼치지 않는 은밀한 사생활 영역까지도 비정상이고 ‘정신적 병리 상태’라고 정신병원에 갇히고 정치적으로 이용되기까지 하는 상황을 과연 정당하다고 말할 수 있을까? 아직도 미국에서는 곱슬머리를 펴지 않았단 이유로 등굣길의 흑인 소녀들이 집으로 돌려 보내지고 있다.
살면서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사회적으로나 허용이 되는 범주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혈압과 건강 상태가 연관이 있는 것처럼. 그렇다고 한없이 굶는 것이 또 건강한 상태는 아닌 것처럼. 그러니 내가 정상인지 아닌지 걱정하는 것은 어떻게 보면 당연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 정상이라는 관념이 우리에게 어떤 규범과 기준을 안겼는지 의문을 품고 질문을 던지는 것은 중요하다. 그래야만 우리는 획일화되고 고착화된 기준에서 벗어나, 각자의 개성대로 열린 마음으로 함께 사는 삶을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목차

이 책을 읽기 전에
프롤로그: 나는 정상인가

1장 정상성은 어떻게 태어나고 어떻게 적용되어왔는가

표준의 탄생 / 평균인, 최초의 정상적 인간 / 정상 상태와 병리 상태 / 정상성의 한계 / 집단에 어울리는 사람이 된다는 것

2장 내 몸은 정상인가

우리가 신체를 바라보는 방식 / 아름다움이란 신화 / 비만과 정상 / XS보다 작은 사이즈 / 인간의 또 다른 매력들 / 정상적인 신체란 무엇인가

3장 내 마음은 정상인가

폐쇄 정신 병동에서 / 환청의 의미 / 위대한 비정상인들 / 신경증, 새로운 표준이 되다 / 정상적인 정신이란 무엇인가

4장 내 성생활은 정상인가

성을 둘러싼 다른 생각들 / 자위에 대한 비난과 오해 / 동성애는 죄인가 / 성의 스펙트럼 / 라이크 어 버진 / 그래서 정상적인 섹스란 무엇인가

5장 내 감정은 정상인가

무서운데 웃음이 나와 / 가슴이 찢어지는 슬픔 / 굳게 다문 입술 / 원초적 열정 / 감정 측정 기계 / 사이코패스, 감정 없는 안드로이드 / 감정과 함께 살아가기

6장 내 아이들은 정상인가

엄마 아빠가 너를 망쳤어 / 뚱뚱하고 건강한 아이 / IQ 테스트에 관한 함의 / 문제 아동이라고? / 아이의 감정 건강 / 수줍음부터 과잉행동까지 / 정상적인 아동, 비정상적인 부모

7장 사회는 정상인가

팬데믹 세상에서 / 사회 유기체라는 식민지 시대의 유산 / 공동체 속의 중산층 / 기준이 된 도시의 백인 중산층 / 미래의 지도자들 / 새로운 표준

에필로그: 정상성을 넘어
감사의 말
정상성에 관한 도표와 질문지
그림 목록과 출처